본문 바로가기

사업발굴

신뢰와 혁신으로 이끌어가는 주요 사업들을 소개합니다

해외 인프라협력센터 및 사무소 운영

KIND는 2019년부터 ‘해외건설촉진법’ 제15조의4, 동 시행령 제19조의3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위수탁계약을 체결하고 ‘해외인프라협력네트워크 운영’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프라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성이 높은 국가에 인프라협력센터를 개설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동부 유럽 최대 소비시장이자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한 전초기지로 폴란드에 사무소를 자체적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거점을 통하여 발주처와의 네트워크 형성, 사업정보 발굴 및 정보 제공 등 우리 기업의 수주활동을 지원합니다.
한-베트남 인프라협력센터

한-베트남 인프라협력센터

한국의 제3위 교역국으로서
인프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한-방글라데시 인프라협력센터

한-방글라데시 인프라협력센터

G2G 플랫폼 베이스의 인프라 집중 진출국
한-인도네시아 인프라협력센터

한-인도네시아 인프라협력센터

세계 16위의 경제규모,
높은 인프라 확장 수요 등 잠재력이 큰 핵심 거점
한-케냐 인프라 협력센터

한-케냐 인프라 협력센터

한국의 동아프리카 최대 교역파트너로서
안정적인 국내정세와 시장경제체계 및 지정학적 관문에 위치
한-사우디아라비아 인프라 협력센터

한-사우디아라비아 인프라 협력센터

네옴시티, 홍해 개발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발주되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투자개발형 시장
우크라이나 재건협력센터(폴란드 사무소)

우크라이나 재건협력센터(폴란드 사무소)

우크라이나 재건 및 개발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전담 사무소로,
이후 중동부 유럽 최대 소비시장인 폴란드를 포함,
유럽 인프라시장 진출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

게시판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케냐

사우디아라비아

폴란드

  • 베트남
  • 방글라데시
  • 인도네시아
  • 케냐
  • 사우디아라비아
  • 폴란드

[산업정보] 글로벌 기업의 FDI 확대 동향

245 2024-05-02

2023년 주재국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규모는 전년대비 10.2% 증가한 502.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올해에도 미국의 초대형 IT기업들과 중국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2억 8천만명의 인구로 거대한 소비시장을 갖춘 나라이면서, 젊고 풍부한 생산가능인구와 낮은 인건비로 인한 높은 생산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센터에서는 주재국 FDI 현황에 대해 간략하게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결과는 익명으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