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발굴

신뢰와 혁신으로 이끌어가는 주요 사업들을 소개합니다

해외 인프라협력센터 및 사무소 운영

KIND는 2019년부터 ‘해외건설촉진법’ 제15조의4, 동 시행령 제19조의3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위수탁계약을 체결하고 ‘해외인프라협력네트워크 운영’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프라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성이 높은 국가에 인프라협력센터를 개설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동부 유럽 최대 소비시장이자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한 전초기지로 폴란드에 사무소를 자체적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거점을 통하여 발주처와의 네트워크 형성, 사업정보 발굴 및 정보 제공 등 우리 기업의 수주활동을 지원합니다.
한-베트남 인프라협력센터

한-베트남 인프라협력센터

한국의 제3위 교역국으로서
인프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한-방글라데시 인프라협력센터

한-방글라데시 인프라협력센터

G2G 플랫폼 베이스의 인프라 집중 진출국
한-인도네시아 인프라협력센터

한-인도네시아 인프라협력센터

세계 16위의 경제규모,
높은 인프라 확장 수요 등 잠재력이 큰 핵심 거점
한-케냐 인프라 협력센터

한-케냐 인프라 협력센터

한국의 동아프리카 최대 교역파트너로서
안정적인 국내정세와 시장경제체계 및 지정학적 관문에 위치
한-사우디아라비아 인프라 협력센터

한-사우디아라비아 인프라 협력센터

네옴시티, 홍해 개발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발주되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투자개발형 시장
우크라이나 재건협력센터(폴란드 사무소)

우크라이나 재건협력센터(폴란드 사무소)

우크라이나 재건 및 개발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전담 사무소로,
이후 중동부 유럽 최대 소비시장인 폴란드를 포함,
유럽 인프라시장 진출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

게시판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케냐

사우디아라비아

폴란드

  • 베트남
  • 방글라데시
  • 인도네시아
  • 케냐
  • 사우디아라비아
  • 폴란드

프라보워, 77개의 국가 전략 프로젝트(PSN) 발표

75 2025-03-12

주재국 정부는 5년 단위로 국가의 중기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현재는 2025-2029 RPJMN(Rencana Pembangunan Jangka Menengah Nasional)을 통해 프라보워 정부의 경제 성장, 인프라 개발, 사회 복지, 환경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장기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2029년 인도네시아 국가 중기 개발 계획(RPJMN) 목표 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들을 국가 전략 프로젝트(PSN, National Statrgic Project)로 선정해 추진하고 있으며, 프라보워 대통령은 전정권이 추진하던 48개의 프로젝트에 29개의 신규 프로젝트를 추가한 총 77개의 국가 전략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프로젝트/프로그램명은 원문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konomi.bisnis.com/read/20250303/45/1844346/prabowo-tetapkan-77-psn-periode-2025-2029-ini-daftar-lengkapnya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결과는 익명으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합니다.